Ethnography - '위버스 Weverse'
[EXERCISE]
Find an online community, and capture the context and conversations of cohort users.
From the recording results, generate, analyse, and interpret the data.
[위버스(Weverse)]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기반의 플랫폼으로 아티스트와 팬 간의 소통을 돕고, 팬 맞춤형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커뮤니티 플랫폼인 '위버스(Weverse)'와 함께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인 '위버스샵(Weverse Shop)'을 론칭하여 아티스트 굿즈를 판매하고 있다.
'HYBE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beNX'에서 개발한 팬 커뮤니티 플랫폼이며, 2019년 6월 론칭되어 현재 총 20팀의 아티스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서비스로는 'SM 엔터테인먼트' 계열사인 '디어유(Dear U)'에서 제작한 '리슨(Lysn)', '엔씨소프트'에서 제작한 '유니버스(UNIVERSE)' 등이 있다.
아티스트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팬들 간의 소통방식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카페 기능을 활용한 팬카페 기반의 온라인 커뮤니티가 보편적이었다. 이후 '네이버'에서 라이브 동영상과 실시간 채팅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인 'Vlive'를 선보이며 아티스트와 팬덤 간의 새로운 소통 방식을 제안하였다. 어플리케이션 활용에 능숙하고 다양한 신기술에 적응이 빠른 MZ세대가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주요한 타겟이 되며, E&M 계열의 회사에서 직접 제작한 '위버스', '리슨', '유니버스'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온라인 커뮤니티가 새롭게 출현하여 빠르게 업계를 장악하고 있다.
[플랫폼 환경에 따른 이용자의 상호작용 분석]
아티스트 <=> 팬
(1) 아티스트의 포스트에 팬 이용자가 댓글을 남기는 경우
팬 <=> 팬
(1) 팬 이용자가 Hide from Artist 기능을 활용하여 포스트를 작성하는 경우
- 아티스트는 볼 수 없음
- 아티스트・팬문화와 관련한 질문 혹은 투표 독려와 관련한 포스트가 주로 업로드 됨
- 해시태그를 통해 검색할 수 있음
[타 커뮤니티와의 비교: Daum 팬카페]
위버스의 해시태그 분류 <---> 팬카페의 게시판 분류
(4) From.아티스트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