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ERCISE] MacKenzie, Human-computer interaction Chapter 4

4-5.
 In Chapter 3, we used a 2D plot to illustrate the trade-off between
the frequency of errors (x-axis) and the cost of errors (y-axis) (see Figure 3.46).

The plot was just a sketch since the analysis was informal.
In this chapter, we discussed another trade-off, that between form and function.
The trade-off is shown below, drawn in a similar way for the same reason. 
Two juice squeezers are positioned in the plot according to their suggested form and function.



Find three examples of artifacts, each with two implementations (e.g., two juice squeezers are shown above),
and position them in the form versus function 2D plot.
Ensure at least one of the artifacts is computer-based and at least one is not computer-based.
Write a brief report describing the artifacts and implementations and rationalizing their placement in the chart.


" Form Follows Function"

20세기 건축과 산업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디자인 원칙

The purer the functionality of an artifact, the more beautiful it is. 
: Less is more 
A: high form / low function
B: high form / high function
C: low form / low function
D: low form / high function


[예제 1]

A: 곡선형 디캔터
D: 스탠다드 디캔터

분석:
와인을 공기와 접촉시켜 풍미를 끌어낼 때 사용하는 디캔터는 와인 애호가뿐만 아니라 파티 혹은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자주 쓰이는 것이다. 곡선형 디캔터의 경우 와인을 넣었을 때 형태form 상으로 보기 좋다. 하지만 와인 종류에 따라 까다롭게 구분하여 사용하여야하고 사용 이후 세척 또한 어렵다. 시각적인 만족으로 위해 곡선형의 화려한 디캔터를 사용한다면, 기능form 면에서는 어떤 와인을 마시게 될 지 모르니 여러 종류의 디캔터를 구비해두어야하고 심지어 전용 세척솔까지 구매해야해서 비효율적이다.
스탠다드 디캔터는 형태form 상으로는 전자에 비해 평범하지만 기능function 상으로 활용도가 높고 무난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일이 적다. 



[예제 2]

A: DDP
D: 고층사무실

분석:
DDP는 세로높이가 높지 않은 비정형 건축물이며 직선이 하나도 없는 것이 특징이다. 외부의 형태form는 일반적인 건물에 비해서 뛰어나지만 기능function적으로 보았을 때 공간효율이 좋지 않고 방문자가 건물 내부에서 동선을 파악하기 어려운 복잡한 구조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 일반적인 고층사무실(빌딩)은 형태form상으로 크게 개성이 드러날 공간이 없다. 하지만 기능function적으로 사각형 구조를 활용하여 공간을 구획하기에 용이하고 훨씬 많은 실사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제 3]

B: 대한항공
C: 코레일

분석:
웹사이트의 경우 form과 function이 완벽하게 분리되기 힘들다. 실물 디자인과 달리 평면 안에서 필요한 요소를 배치해야하기 때문에 기능function에 충실한 디자인일수록 형태form 또한 보기 좋다. 전달해야하는 정보를 중요도에 따라 배치하고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 대한항공 메인페이지 / 예매 페이지
대한항공 홈페이지의 경우, 항공권 예매 및 조회에 대한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메인 페이지에 노출되는 텍스트의 수를 줄이고 강조하는 기능을 가장 잘 보이는 중간 부분에 배치하였다. 예매 페이지의 경우, 정보를 시각화하고 텍스트의 굵기, 색깔, 배치 등을 활용하고 있다.

  • 코레일 메인페이지 / 예매 페이지
메인 페이지에 너무 많은 정보값이 있어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불편하다. 예매 페이지의 경우 일괄적으로 표로 정리를 하여 한눈에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정보가 많다보니 전체적으로 폰트 사이즈가 작고 가독성이 좋지 않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게임월드에서 살아보기 #1,2

Critiques for Week 3

게임월드에서 살아보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