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Ideation - '유니버스 Universe'


Exercise

Sketch your interaction design ideas in various forms
such as usage scenarios, storyboards, and wireframes.



'Universe' Analysis

'게임 요소'와 '유저 반응 표시'를 중심으로 분석

1. Game Feature

'유니버스'를 타 플랫폼과 차별화시키는 것은 게임 요소이다. '스튜디오' 탭을 통해 팬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아티스트의 아바타를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유니버스'는 이 기능을 통해 기존에 없던 독특한 팬 문화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아바타 스튜디오'가 팬 사용자에게 낯설게 다가가는 것은 단점이기도 하다. 기존의 팬 문화와 섞이지 못하고 그저 한 번 사용해보고 마는 '신기한 기능'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꾸준한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어렵다(실제로 '스튜디오'는 업데이트 이후에 선택적으로 다운받을 수 있게 변했으며, 이를 통해 '유니버스'의 유저들이 '스튜디오'를 '유니버스'를 사용함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hat makes continued mobile gaming enjoyable?

비록 '유니버스'가 '스튜디오'의 활성화와 수익성 모델을 위해 게임머니와 아이템 같은 게임 요소를 그대로 도입하였다해도 정작 게임의 흥미를 일으켜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을 모을 수 없다면 이 기능은 참신한 시도라는 평가에서 그칠 수 밖에 없다. 위 사진은 게임에 있어 사용자의 흥미enjoyment를 이끌어낼 수 있는 요소를 조사한 결과이다. '스튜디오'는 커스터마이징뿐만 아니라 스크랩과 MV 제작 등의 여러 참여형 기능을 제공하지만 가장 중요한 도전challenge 요소가 부족하다. 도전 과제가 없기 때문에 플레이에 대한 보상 또한 미미한 수준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스튜디오'는 앞으로 정체성을 확실히 해야한다. 단순히 게임 요소를 빌려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뚜렷한 스토리라인과 도전 과제를 제시하여 지속적인 사용자 유입과 유치를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한다.


2. Non-verbal Communication

'스튜디오' 기능은 가장 기본적인 소통 방식인 '댓글'(언어적 소통)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팬 사용자 간의 소통을 유도하고 그 결과를 전시한다.

좋아요 수 / 플레이 수 / 참여 수

위의 세 가지가 가장 대표적인 비언어적 소통의 결과지표이다. 지난 몇 주간 ethnography 연구를 위해 '아스트로'의 '스튜디오'를 관찰한 결과, 가장 메인화면에 보이는 인기/핫 캐스팅 스타일과 인기/핫 캐스팅 MV의 좋아요/플레이/참여 수는 꾸준히 늘지만 새로운 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경우가 낮고 상승폭도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사용자들의 참여가 미비할 뿐만 아니라 신규 유입 또한 매우 저조함을 보여준다.




Design Suggestions and Ideas

아바타 육성/시뮬레이션 게임


아이템 1. 데뷔 or 신인~현재

(레퍼런스: 월간 아이돌)





육성 게임의 형식을 취하여 직접 아티스트를 성장시키는 스토리라인을 구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데뷔 전 연습생 레벨 혹은 신인 레벨에서 시작하여 현재 레벨까지 아바타를 성장시키는 것을 게임의 도전 과제로 설정한다. 


아이템 2. 휴가

" 아티스트의 과도한 참여를 지양하되 팬덤이 요구하는 상호작용을 만족시켜

윈윈할 수 있는 소통 방식은 무엇인가 " 


이는 기존의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아이돌의 무대 뒤 사적인 스케줄을 팬덤과 실제로 공유하지 않더라도 게임을 통해 흥미와 대리만족을 줄 수 있다. 만약 상황에 따른 반응을 아티스트가 사전에 게임 제작에 참여하여 직접 설정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Scenario/Wireframes

데일리 퀘스트 알림을 받고 아바타를 레벨업 시키기 위해 퀘스트를 수행하는 유저.




Miroboard Link: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게임월드에서 살아보기 #1,2

Critiques for Week 3

게임월드에서 살아보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