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nography3 - '유니버스 Universe'
1. Open coding - 2. Axial coding - 3. Selective coding
1. Open coding
- 수집한 데이터를 꼼꼼하게 살펴보며 잘게 나누고 코드를 부여 (총 193개의 코드 생성)
a. ai call recording (transcript)

b. post
2. Axial coding - 3. Selective coding
- 각 코드 간의 관계를 이어보고 더 넓은 카테고리로 묶어 분류
- 여러 카테고리를 관통하는 상위 카테고리를 제시 & 상위 카테고리를 다시 데이터 및 코드와 연관
Simple Analysis
sns 메타포를 활용한 플랫폼을 통해 아티스트-팬의 기본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남
- 포스트 읽기 기능을 통해 일반 sns와의 차별화를 의도
- 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음(댓글 분석 결과, 댓글은 아티스트에게 반응 하는 목적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음)
게임 요소 활용을 통한 사용자 흥미 유발 및 어플 활성화
- 게임 머니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많음. 아바타 코디 및 MV 제작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
는 어느 정도의 게임머니가 필요함. (결제가 아닌 광고 시청 등의 방식을 통해서 무료로 게임 머니
를 얻을 수 있는 방법도 존재함)
- 아바타와 MV를 다른 팬 사용자와 공유하고 시청하거나 좋아요, 스크랩 등의 기능을 통한 비언어
적인 소통이 댓글을 통한 직접적/언어적 소통보다 활발함
- 플랫폼이 참여도, 재생 수, 좋아요 수 등을 노출시켜 사용자 간 비언어적 소통을 원활하게 함
현실 속 통화 내용을 모방하기 위해 노력함
- 벨소리와 통화 효과음의 삽입을 통해 현실감을 높임
- 통화 내용에 필수적으로 호칭 호명을 넣고(1-2회), 질문을 통해 실시간 상호 대화의 느낌을 살림
- 횟수 제한이 있으나(1일 1회) 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상황에 맞게 예약을 할 수 있게 자율성을 부
여하였음
댓글
댓글 쓰기